List 아이템 부분추출 함수 정리 # take, takeWhile, takeLast, drop, slice, first and last
오늘은 list 나 Sequence에 적용할 수 있는, 아이템을 부분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볼 API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는데요. take, takeLast, takeWhile, drop, dropWhile, slice first, last, firstOrNull, lastOrNull 하나씩 보도록 하겠습니다. 1. take api 이름에서 느껴지는 것처럼, 처음 n개의 요소들을 반환해 줍니다. 아래 코드에서는 처음3개를 취하기 위해서, 3을 인자로 넣어주었구요. 결과는 앞의 1,2,3을 반환해 주게 됩니다. val numbers = listOf(1, 2, 3, 4, 5) val result = numbers.take(3) println(result) // 결..
2023. 5. 15.
any , contains, none , all, containsAll 에 대한 정리 # Kotlin list 존재여부 확인
오늘은 Kotlin list 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함수인, any, contains, none, all, containsAll 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any()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칭되는 아이템이 Collection 에 존재한다면, true 를 없으면 false 를 return 해 줍니다. val list = listOf(1, 2, 3, 4, 5) val result = list.any { it > 3 } println(result) // 결과: true
2023. 5. 6.
Room DB 사용방법 총정리 # Android SQLite
오늘은 android의 Room DB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1. Room1-1. Room정식명칭은 Room Persistence library이고요.ORM(Object Relational Mapping)으로서,SQLite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쉽도록,데이터베이스를 객체로 매핑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SQLite를 Annotation을 이용해서 좀 더 사용하기 쉽게 추상화했다고 보면 될 것 같은데요. 1-2. TypesRoom은 SQLite를 바탕으로 하지만,실제 지원하는 타입은 훨씬 다양합니다.다만, 복잡한 객체나 컬렉션(예: List, Map)을 직접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지원타입설명원시타입char, int, short, long, float, double, byte, booleanWrapping T..
2023. 4. 4.